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6

1916년a 다다, 한스 아르프, 클레 ▲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함께 미래주의와 표현주의의 도발에 대한 이중 반작용으로 취리히에서 국제적인 운동 '다다'가 시작된다. 모든 예술 규범에 대한 무정부적 공격이라는 다다의 계획은 급속히 타올랐다. 다다는 짧은 수명에도 불구하고(20년대 초반에 대부분 사그라졌거나 프랑스 초현실주의와 독일 신즉물주의에 편입됐다.) 적어도 여섯 개의 주요 활동 기지가 있었다. 취리히, 뉴욕, 파리, 베를린, 쾰른, 하노버가 있었고 그중 몇몇 지역들은 다양한 저널과 방랑하는 예술가들, 트리스탕 차라와 프랑시스 피카비아 같은 야심 찬 기획자들을 통해 간헐적으로 교류했다. 제1차 세계대전의 파국과 미래주의와 표현주의의 도발에 대한 이중 반작용으로 시작된 다다는 부르주아 문화를 직접 겨냥하여 전쟁의 학살이 부르주아 문화에서.. 2019. 9. 15.
[잡지] 다다 저널 제1차 세계대전 발발 후 취리히로 몰려든 예술가와 시인 그룹은 즉시 잡지 (1916)를 창간했다. 이 저널을 통해 다다는 유럽 전역과 북미로 이름을 알릴 수 있었다. 정신분석학이 미술을 승화적인 것(정신의 취약한 부분을 형성하는 동물적 본능 위로 떠오르는 방식)으로 이해했다면 다다는 (시와 회화의 정신적 야망을 조롱하며) 그것을 탈승화적인 것으로 보았다. 라하르트 휠전베크는 다다의 짧은 역사에서 "독일의 시인은 멍청이의 전형이다....... 그는 세계가 '정신'으로 만들어졌다는 말이 얼마나 엄청난 거짓말인지 이해하지 못한다."라고 썼다. 1917년에 취리히에서 발행된 는 트리스탕 차라가 편집했으며 곧이어 조지 그로스의 포토몽타주 같은 다다의 작품을 모아놓은 가 발행됐다. '다다'라는 단어가 어떤 호기심을.. 2019. 9. 13.
1915년 카지미르 말레비치 ▲ 카지미르 말레비치가 페트로그라드에서 열린 전에 절대주의 캔버스를 출품하면서 러시아 미술과 문학의 형식주의 개념들이 한 곳에 모인다. 러시아 형식주의의 개념들 러시아 형식주의라고 알려진 문학비평 학파의 양대 산실은 1916년 페트로그라드에서 설립된 '오포야즈'와 '모스크바언어학회'였다. 오포야즈의 주요 회원인 빅토르 시클롭스키는 「장치로서 예술」(1917)에서 형식주의 문학 분석의 최초 개념 중 하나인 '낯설게 하기'를 체계화했다. 자움(이성에 도전하여 언어의 일반 법칙으로부터 단어를 해방시키려 했던 '초이성적' 언어) 시인들이 오랫동안 연구했던 '낯설게 하기'는 형식주의 비평가의 관점과 아방가르드 시인 및 화가들의 관점이 초기에 하나로 수렵된 지점을 가장 잘 드러낸다. 이들은 특히 언어의 개념을 정보.. 2019. 9. 12.
[사건] 곰의 가죽 (투자 대상이 된 미술품) 아마도 레디메이드는 예술과 시장 간의 복잡한 관계를 가장 잘 드러낸 미술 형식일 것이다. 대량생산된 사물에 미학적 가치를 부여한 결과 그 경제적 가치는 폭등했다. 반면 이렇게 고가의 작품을 거래하는 일은 명품 구매와 동일한 구조를 지니게 됐고 그 결과 작품은 상품으로 전락하게 된다. 그러므로 아방가르드는 그들이 노출시키고자 했던 자본의 논리와 끝없이 연루되는 구조적 모순에 봉착하게 됐다. 아방가르드 미술이 훌륭한 투자 대상이라는 사실은 1904년 사업가 앙드레 르벨의 투자를 통해 입중된다. 르벨은 열두명의 투자자와 함께 아방가르드 미술을 사들이는 컨소시엄인 '곰의 가죽'을 발족하고 10년 후에 그들이 구매했던 작품들을 경매에 붙였다. 르벨의 그룹은 발 빠르게 마티스와 피카소의 작품을 대거 구입하기 시작했.. 2019.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