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6

1994년a 키키 스미스, 로버트 고버, 애브젝트, 폴 매카시, 마이크 켈리 ▲ 중견 작가 마이크 켈리의 전시가 당시 널리 퍼져 있던 퇴행과 애브젝션에 대한 관심을 집중 조명하고 로버트 고버와 키키 스미스를 비롯한 다른 미술가들이 조각난 신체의 형상들을 이용해 섹슈얼리티와 필멸성의 문제를 제기한다. 루이즈 부르주아와 에바 헤세는 60~70년대도 잘 알려져 있었지만, 80~90년대 들어 충동과 환상에 의해 심리학적 양상을 띠기 시작한 신체와 공간에 대한 탐구가 다시 공감을 얻게 되면서 실질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70년대 후반 페미니스트 미술가들과 로버트 고버 같은 게이 미술가들은 AIDS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이성애적 욕망의 대상인 초현실주의적 물신들을 동성애적인 애도와 멜랑콜리를 암시하는 수수께끼 같은 대상으로 변형시켰다. 또한 이들 미술가들은 루이즈 부르주아처럼 "회.. 2019. 12. 31.
작가 1. 게르하르트 리히터 메모 1990년 리히터, 메모, 1990 내가 어떤 것도 계획할 수 없다는 것을 받아들여라. 그림을 ‘구축’ 하기 위해 내가 고려하는 모든 것은 잘못되었다. 그리고 그 작업수행이 만약 성공적이라면, 그것은 단지 이 수행작업의 일부가 파괴되었기 때문이거나 파손되지 않은 채 마치 비계획적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는 식으로 이 작업이 그래도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받아들이는 것은 때로는 견딜 수 없는 일이며 또한 불가능한 일이다. 왜냐하면 내가 생각하고 계획하는 한 사람으로서 이 방면에 내가 불능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모욕적이고, 또 이는 나의 자격과 내 창조적 능력을 의심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유일한 위로는 비록 그게 속성상 나의 의지에 반해 스스로 만들어지며 제멋대로 생겨남에도 불구하고 내.. 2019. 11. 23.
작가 1.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말 1980년대 만일 우리가 어떤 과정을 기술하거나, 계산서를 작성하거나, 또는 나무를 보고 사진을 찍으면서 우린 견본을 창조해 냅니다. 이 견본이 없다면 우리는 실재에 관해 아무것도 알 수 없을 것이고 그러면 짐승과 다름없죠. 추상적 그림들은 허구적 견본입니다. 왜냐하면 그림들은 우리가 볼 수도 기술할 수도 없는 실재를 예시하니까요. 우리는 이 실재를 부정적 개념들, 즉 미지의 것, 이해 불가능한 것, 비정형적인 것을 사용해서 식별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수세기 동안 그려왔죠. 즉, 천국과 지옥, 신들과 악마들의 대체 이미지들을 말이죠. 추상회화는 우리가 혼란스럽고 이해 불가능한 것들을 추적하는 데 있어 보다 나은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왜냐하면 추상은 보다 직접적인 표현성-즉, 미술의 모든 수단들-을 가지고 ‘무’를 기.. 2019. 11. 22.
작가 1. 게르하르트 리히터 Gerhard Richter says.... 1964~65 어딘가에서 아주 오래 전에 발췌를 한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말, 글, 생각들이다. 작업실에 놓여있던 전시 도록 책자였던 것 같은데... 정확한 명이 기억나지않아 아쉽다.... 하지만 그의 생각들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직접적인 이야기들은 나에게 많은 영감을 주기에 가끔 꺼내 읽어보는데 여기에도 옮겨본다. 정말 근사한 일을 아는가? 엽서를 베끼는 일처럼 바보스럽고 어리석은 일이 회화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 그리고 사슴, 비행기, 왕, 비서 등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그릴 수 있는 자유, 더 이상 창작하지 않아도 되는 것, 회화라고 알려진 모든 것을 잊어버리는 것, 색, 구성, 공간 그리고 지금까지 알아왔던 그리고 생각해왔던 모든 것이 미술의 전제 조건이기를 갑자기 멈춰버리는 것. 내 그림들이 모델.. 2019.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