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6

하루한줄쓰기_23.11.05 배움에는 목적이 명확해야하고 내 언어로 번역해야만 기억할 수있다. 책 [한줄정리의 힘]챕터3까지 읽고 정리한 한 문장. 배움이 헛되지 않기 위해 글로 남겨 아로새겨본다. 2023. 11. 5.
하루한줄쓰기_23.11.04_변화의 시간 변화하고 싶은 조급한 마음이 자꾸 나를 때려댄다. 내가 정해둔 시간과 내 노력이 모습이 드러내는 시간에는 항상 차이가 있다. 그 간격 동안 마음이 불안정하다. 어느 누가 평온함속에서 변화를 맞이하겠느냐만 그 흐름들은 결코 만만하지가 않다. 2023. 11. 4.
하루한줄쓰기_23.11.3 회색빛 하늘에 걸음을 더하니 축축한 차가움이 보인다. 내가 두려워하는 건 어두운 밤 깊숙한 바다 조용할때 들리는 원인 모를 소리 고요한 숲길 뒤따르는 발자국 먹구름낀 하늘 천둥 번개 . . . 등 많이있다. 이런것들은 늘 존재하고있고 문득문득 그 존재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그것에 잠식되진 않는다. 두려움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익히면서 극복하려 애쓰기보단 밝은 것을 더 많이 보고 느끼고 채워나가길 축축한 차가움보단 따뜻한 마음이 보이길 바란다. 2023. 11. 3.
하루한줄쓰기_23.11.02_셀프칭찬 셀프칭찬은 부정적 무의식에서 탈출하는 길이다. 우리는 질책, 비난, 과도한 성과사회 속에서 자신도 모르게 비교 대상이 되어 나를 부정하는 마음에 사로잡혀있다. 이것은 내가 알아채기도 전에 ‘나는 안돼’라는 자기패배적 의식에 쉽게 빠져버리는 무의식에 지배당해, 무슨 일을 하든 성장을 더디게하고 비효율적이며 초라한 아웃풋을 만들게 한다. 하지만 이런 부정적인 마음은 사회나 바깥에서 들여온 사실과는 다른 내가 원치않는 의식이므로 ’내 잘못이 아니야‘라는 것을 깨닫고, 나에게 긍정적인 자아상을 심어주어야한다. 그 방법으로는 실천적인 눈에 띄는 행위가 필요한데, 예를들어 시간마다 잘한 것을 찾아 칭찬 기록을 쓴다던지, 하루끝에 적어도 세가지 칭찬노트를 작성한다던지 등의 의식적인 행위로 거듭 자신의 자아상을 긍정적.. 2023. 11. 2.